사업 아이템 혹은 아이디어만 가지고선 아무것도 시작할 수 없으므로, 사업 기획을 통해 사업내용을 실체화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합니다. 이는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과정입니다.
사업 기획이란?
- 아이디어 단계의 사업 아이템을 누구에게라도 일목요연하게 자세히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화함으로써, 사업의 정체성과 실체가 명확히 드러나도록 하는 작업
사업 기획의 두 가지 요소
- 구조화(Structuration): 사업이 성립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요소들과 핵심요소들을 활용하여 골격을 세우는 것
- 구체화(Concretization): 사업으로서 온전한 면모를 갖추기 위해 부가 요소들을 덧붙여 외형을 완성하는 것
사업 기획이 꼭 필요한 경우
- 사업이 아이디어 단계이거나, 아직 충분히 구체적이지 못할 때
- 사업 구상이 구체적인 단계까지 이르렀으나, 확신이 들지 않을 때
-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자 하나, 재료가 되는 세부 내용들이 없을 때
사업 기획을 생략하고 건너뛸 때의 문제점
- 막연하고 추상적인 생각만 가지고선 사업화를 위한 다음 준비단계로 나아갈 수 없음
- 바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면, 내용이 텅 비었거나 양을 채우기 위해 억지로 짜집기된 저품질 문서만이 산출됨
(사업 기획을 건너뛴 사업계획서는 빈 껍데기이거나, 맥락없는 모순덩어리거나, 허무맹랑한 공상소설이거나…) - 행여 당장은 문제가 없을지라도, 추후 주먹구구식 준비로 인한 문제발생 확률이 높고 되돌리기가 매우 어려움
사업 기획과 사업계획서의 차이는?
- 사업 기획은 사업내용 그 자체이나, 사업계획서는 분명한 목적을 갖고 완성된 문서
- 사업 기획은 사업의 주체인 경영진이 직접 활용하기 위한 콘텐츠이나, 사업계획서는 주로 투자자나 융자기관 등 외부에 보여주기 위한 문서인 경우가 많음
- 선후관계로 보면 사업 기획은 사업계획서 작성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며, 사업계획서가 요리라면 사업 기획의 결과물은 요리를 위한 식재료에 해당
사업내용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은 곧, 정확한 레시피나 필요한 식재료 없이 오직 상상만으로 요리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사업 기획 프로세스
- 사업 아이디어 확인
- 내·외부 환경 분석
- 사업 컨셉 정립
- 사업 추진체계 정립
- 관련시장 및 대상고객 정립
- 비즈니스모델, 수익모델 정립
- 제품 또는 서비스 개념 정립
- 기본 운영방안 정립
- 기타 맞춤내용 구체화
- 검증 및 보완
산출 결과물
- 사업 기획안(PPT)
결과물 활용
-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최소한의 재료 확보
- 사업 전반에 대한 기본적인 가이드라인 확보
- 사업 아이디어에 대한 일차 검증과 경쟁력 강화
※ 자료들이 준비된 상태에서, 사업계획서 작성을 원하신다면 ☞ 사업계획서 작성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