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고된 지원사업 접수나 입찰 참여가 아닌) 공공기관에 무엇인가를 능동적으로 먼저 제안하고 협업을 추진하는 것은,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고난이도 전략입니다.
공공기관 제안전략이란?
- 공공기관에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기타 공공기관(공기업, 공사 등)이 포함
- 공공기관 제안이란 민간기업이 공익과 실리의 동시 추구를 목적으로, 공공기관에 새로운 정책사업 아이디어나 상품 구매 등을 먼저 제안하는 능동적인 활동
공공기관 제안전략의 대표 유형
- 공공기관에 공공 정책사업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사업화 이후 사업 운영과정에 참여
- 공공기관에 기업 지원정책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사업화 이후 지원사업에 접수 신청
- 공공기관에 (정책사업에 활용 가능한)상품을 소개하고 구매 제안
공공기관 제안전략이 꼭 필요한 경우
- 공공기관에 먼저 제안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음에도 아이디어나 콘텐츠가 없는 경우
- 공공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 중이나 적합한 솔루션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경우
- 기존에 공공기관과 협업을 진행하였으나 성과가 미흡하여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한 경우
공공기관 제안전략의 성공조건
- 공공기관의 특성과 제약에 대한 올바른 이해
- 명분과 실리의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적 접점 창출
- 최신 정책기조와 기관별 정책사업 트렌드에 부합
공공기관의 공익추구와 민간기업의 실리추구 간 접점 아이디어가 핵심 관건입니다.
공공기관 제안전략 기획 프로세스
- 기존 자료·정보 분석
- 내·외부 환경 분석
- 전략기획 프레임 설정
- 아이디어 발굴·숙성
- 아이디어 선별·확장
- 제안 전략 정리·시각화
- 제안 전략 수정·보완
산출 결과물
- 공공기관 제안 전략문서(PPT)
결과물 활용
- 공공기관 관계자 협의용 아이디어 준비
- 공공기관 관계자 제출용 제안방향 요약본 준비
- 공공기관 제안문서 작성 가이드라인